ISO 1400(14001) 시스템인증 컨설팅
|
|
 |
|
|
 |
|
ISO 14001 환경경영시스템 규격 |
국제표준화기구인 ISO의 환경경영 위원회(TC 207)에서 개발한 ISO 14000 시리즈 규격중 하나로서 조직의 환경경영시스템을 실행, 유지, 개선, 보증하고자 할 때 적용가능한 규격이며 조직에서 발생하는 환경영향을 저감시키기 위해 조직이 갖추어야 할 시스템의 기본조건을 요구하며 환경방침, 목표를 정하여 이를 달성하기 위한 활동을 실시 하고 실시상황에 대한 감시, 검토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. |
|
필요성 및 목적 | |
1992년 리우 지구정상회의를 계기로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(ESSD)을 달성 하기 위하여 실천적 방법론의 하나로 환경경영이라는 새로운 기업 경영패러다임이 등장하게 되었다. 이는 기존의 환경관리 방법이나 사후처리 위주의 기술개발 및 투자활도이 더 이상 충분한 수준이 될 수 없다는 공감대의 반영이며, 경제적 수익성과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전제로 하는 기업경영전략의 도입을 강히 요구하는 것이다. 즉 일부 환경담당자들에 의해 사후처리방식 중심으로 운영되어 오던 기존의 환경관리방식에서 탈피하여 전 직원의 참여를 통하여 사전적으로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체계적인 방안을 모색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. 환경경영체제는 이와 같이 환경의 경영시스템과 통합을 고려함은 물론 기업의 성장과 환경성 과 개선을 도모 하는 것이라고 그 목적을 밝히고 있다. |
|
아울러 ISO 14001을 통하여 기업경영에 다음과 같은 내용을 실현하려고 한다. |
|
 |
국제기준에 적합한 품질경영시스템의 정비와 경영수법의 확립 |
|
 |
품질매뉴얼 기타 표준화와 문서화에 의한 지속적인 개선 |
|
 |
기업내의 불합리한 사항의 제거 |
|
 |
국제시장에의 지출용이 |
|
 |
상거래 및 입찰시의 우대 |
|
 |
제품의 품질향상과 불필요한 사항의 제거로 인한 이익확보 |
|
 |
고객에 의한 품질감사의 간소화 |
|
 |
PL(제조물책임)법 시행에 대한 대응 | |
이러한 제반 환경경영 활동을 통하여 경쟁기업에 대한 경쟁력을 강화한다. |
|
 |
|
구분 |
내 용 |
규격번호 |
환경경영시스템 |
환경경영시스템 요구사항을 규정 |
ISO 14001/4 |
환경심사(EA) |
환경경영시스템 심사원칙, 심사절차와 방법 심사원자격을 규정 |
ISO 14010/11/12 |
전과정평가(EPE) |
주직활동의 환경 성과에 대한 평가기준 설정 |
ISO14031, ISO/TR14032 |
전과정평가(LCA) |
어떤제품, 공정, 활동의 전과정의 환경영향을 평가하고 개선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영향 평가 방법. |
ISO 14040/41/42/43 ISO/TR 14049 |
환경라벨링(EL) |
제3자 인증을 위한 환경마크 부착 지침 및 절차 자사 제품의 환경성 자기주장의 일반지침 및 원칙등을 규정 |
ISO 14020/21/24 ISO/TR 14025 |
용어 정의 |
환경용어 정의 |
ISO 14050 | |
|
 |
|
ISO 1400 도입준비 |
--> |
구축 및 실행 |
--> |
인증심사 |
정보수집 및 분석 - 국내외 동향 - 타사 사례 및 동종업계 - 현황 - 컨설팅, 인증기관 정보
조직의 현황파악 - 환경관리업무실시 상황 - 환경적인 문제점 - 환경적인 심사 - 환경에 대한 의식과 - 이해도
TFT 구성
추진계획 수립 - 추진배경 및 목적 - 추진 Master Plan - 추진예산 |
시스템 기본골격구성 - 환경에 대한 기본 방향 - 제정 - 초기 환경성 검토 - 환경목표 설정, 활동 - 추진조직 교육
구축 및 실행 - 환경방침 제정 - 환경 영향 평가 - 환경목표 및 세부 목표수립 - 경영 추진계획 작성 - 관련절차 마련 및 실시 - (운영관리, 비상시 대응 - 절차 문서관리등) - 내부감사체제 구축 및 - 실시 - 경영검토 |
인증신청 및 상담
예비심사
문서심사
본 심사
인증심의 후 인증서 발행 | |
|
 |
|
 |
Green Image(관심의 증대) |
|
 |
공공의 이미지(Public Image) |
|
 |
Environmental Pressure(사회로부터의 압력) |
|
 |
법규 및 기타요건 강화(Legislation & Regulation) |
|
 |
비용(Financial) |
|
 |
효율성 극대화에 대한 요구 |
|
 |
이익증대에 대한 압력 |
|
 |
보험요건 |
|
 |
경제적 이점 | |
|
|
|
 |
고객들에게 환경경영을 실행하고 있음을 보증 |
 |
공공의 이미지(Public Image) |
 |
공공/지역사회와 좋은 유대관계 유지 |
 |
투자가의 기준만족 및 자본 사용 용이 |
 |
적절한 비용으로 보험 획득 |
| 이미지 향상과 시장 점유율 확대 |
 |
제품 판매 및 외부 납품시 요구되는 인증기준 만족 |
 |
원가관리 개선 |
| 배상책임이 수반되는 사고 감소 |
 |
환경업무에 신중을 기하고 있음을 입증 |
 |
투입자재와 에너지 보존 |
| 인허가 획득 용이 |
 |
개발촉진, 환경문제 해결방법 공유 |
 |
산업계와 정부간의 관계 개선 |
 |
PL(제조물책임)법 시행에 대한 대응 | | | | |